프론트엔드 (3) 썸네일형 리스트형 [스터디] 내가 선호하는 CSS 전략과 클래스 네이밍 방식 ‼️내가 선호하는 CSS 전략과 클래스 네이밍 방식 개발을 하다 보면 자연스럽게 선택하게 되는 것이 있다.바로 CSS 스타일링 방식과 클래스 네이밍 전략이다. 하지만 평소에 무심코 사용하던 것들에 대해 진지하게 고민해 본 적이 있는가?나 역시 이번 스터디 주제로 이 내용을 처음 접했을 때는 꽤 당황스러웠다. 하지만 오히려 이 기회를 통해 나의 CSS 전략을 정리하고, 어떤 기준으로 스타일링을 선택하고 있었는지를 되돌아볼 수 있었다.이번 글에서는 CSS 사용 방식의 종류, 내가 실제로 선호하는 방식, 그리고 클래스 네이밍 전략에 대해 정리해보려 한다.✅ CSS를 사용하는 여러 가지 방식CSS는 웹 페이지의 스타일을 정의하는 핵심 기술이다.그러나 프로젝트 환경이나 개발자의 성향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사용.. [스터디] 토이 프로젝트 - pomodoro, 배포부터 pwa 적용까지 이번 스터디 주제는 토이 프로젝트로, 내가 스피커였다.그동안 만들고 싶었지만 계속 뒤로 미루던 것들을 다같이 해보면 어떨까 싶어서 주제로 선정하게 되었다. 4주차 동안 진행하는 건데, 1주차는 기획안 작성이라 사실상 3주만에 프로젝트를 완성해야 했다.목표는 "실제로 운영 가능한 프로젝트"를 만드는 것이였다. 💡 토이 프로젝트 주제내가 정한 주제는 사이트 프로젝트 주제는 "뽀모도로 웹사이트"로 이전부터 생각해오던 것이었다. 원래 집중을 정말 못하다가 이대론 안되겠다 싶어서 시작한게 뽀모도로였는데,생각보다 나한테 잘맞아서 취준시절부터 꾸준히 사용하는 방법이다. 집에서는 뽀모도로 전용 시계를 사서 잘 애용하고 있는데,막상 회사에서 사용하려니 소리가 너무 크게 날 것 같아서 웹 사이트가 있으면 좋겠다.. [Web] SSG, ISR의 개념과 차이점 1. SSG SSG는 Static Site Generation의 약자로, 정적인 웹사이트를 만들 때 사용한다. SSR과 똑같이 서버에서 렌더링 하지만 렌더링 되는 시기가 SSR과 다르다. SSG는 서버에 배포한 후, 빌드할 때 렌더링(html 코드로 변환됨)된다. 실제 html 파일들은 빌드할 때 미리 만들어 둔다고 생각하면 된다. 1) SSG Rendering 방식 서버에 배포 한 후 빌드시 렌더링이 일어나면서 html 파일이 생성된다. 이후 사용자가 홈페이지에 접속하면, 클라이언트가 서버에 요청을 보내고 서버는 만들어준 html 파일을 보내준다. 클라이언트는 받은 데이터를 통해 html을 표기해 준다. 2) 장점 ① 페이지 로딩 시간(Time To View)이 짧다 ② 자바스크립트 필요 없음 ③ SE.. 이전 1 다음